세계 평화와 한반도 통일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by 관리자 posted Feb 1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계 평화와 한반도 통일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민족, 역사적 관점으로 바라본 세계평화와 한반도 통일

「재외동포단체와 협력을 통한 실천사례 중심으로」



도재영
동북아평화연대 이사장, (전)기아그룹 부회장

통일·민족문제를 바라보는 관점들

1. 안보적·이념적
2. 경제적, 문화적, 종교적
3. 민족, 역사적 관점을 실천사례중심

첫째, 고려인 이주 150주년 기념 한반도 종단 대장정

2014년 8월 16일 (dmz개성공단 통과)C.I.S 동포(고려인) 30여명이 45일간 15,000km에 달하는 유라시아 대장정 자동차랠리 시작.
(모스크바-유라시아-연해주-두만강-평양-대성공단-서울-안산시-독립기념-부산-동해)

C.I.S측 주관: 전() 러시아 고려인 문화자치회, 연해주문화자치회
협찬(후원): C.I.S 국가정부, 기타 북한정부 관련기관
한국 측 주관: 고려인 이주 15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동북아평화연대(집행사무국)
협찬(후원): 통일부, 외교부, 재외동포재단, 국회, 서울시, 부산시, 마사회 외 관련 시민단체, 안산시 청송군 동해시, 한국자동차협회 등

둘째, 연해주 우스리스크시 고려인 이주 140주년 문화기념관건립착공 (2004년) 준공(2009년)

러시아 측 주관: 러시아 우수리스크 문화자치회
협찬(후원): 연해주 주정부, 우스리스크시
한국 측 주관: 사)동북아평화연대, 재외동포재단
협찬(후원): 국회, 외교부, 기업체외 시민

이상 두 사건은 약 100년 전후 연해주를 중심으로 항일운동으로 처형당하고, 독립운동에 직간접으로 활동한 애국선열들과 17만 명이 중앙아시아에 강제이주를 당한 후손들에 대한 신의를 지켜야 한다는 무언의 독려.

많은 애국선열들은 70년이 지난 지금까지 두 쪽이 되어 한반도에서 살고 있는 남과 북의 백성들에게 애통의 마음이 클 것.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만이 분단의 아픔을 겪고 있음.

동북아평화연대는 2000년 초부터 동포들과 따뜻한 정을 나누는 크고 작은 사업을 통해 전쟁과 죽음 없는 평화통일을 공동목표로 활동.

셋째, 재중동포(조선족) 비자사기사건 해결

1998년부터 2000년 초순까지 중국동북3성 거주 조선족 동포를 상대로 한국인들이 한국초청비자 사기사건으로 수천 명의 피해자들은 모국인 한국에 대한 적개심이 팽배해진 일이 발생. 한국정부에서도 해결 대책이 막연.

그때 그 지역에서 조선족 사기 피해자 대책위원회(회장 이영숙)와 한국 측(동북아평화연대, ‘우리민족서로돕기’ 운동본부와 기타 시민단체)은 우리 정부 측(법무부, 출입국관리국, 노동부)등의 협조를 받아서 대부분의 피해자를 구제. 이들은 귀국한 한 민족의 고유하고 끈끈한 가족과 친인척 관계로 묵묵히 생활필수품이나 식량 등을 북한주민들에 직접 전달. 이는 사랑을 실천하는 운동으로 그 진가를 알리는 좋은 사례였음.

넷째, 재한중국동포 어린이(중도입국자) 대상 주말학교를 개설.

2014년 초 동북아평화연대와 재한중국동포교사협회는 서울 구로교육청(2호선 대림역) 구로도서관에 중국동포어린이 어울림주말학교를 개설. 중도입국 어린이들은 정체성 혼란으로 한중 언어와 한중 문화를 중심으로 교육을 받고 있음.

다섯째, 고려인 한글학교 개설을 후원

1)안산시 2009 고려인마을(선부동) ‘너머’고려인 한글학교 개설을 후원.
2)동대문 2012 ‘너머’ 고려인(다문화 포함) 주말한글학교 개설을 후원.
3)7호선 가산디지탈단지역에 인접한 대한고려인한글주말학교 개설을 후원.

여섯째, 미국 버지니아주 동해병기사건이 퇴거(재외동포 한인회 주도)

일곱 번째, 일본 평화헌법 전속 관련 노벨평화상 추진. (동북아평화연대 이사장 이부영 등)

결론

1) 730만 명의 재외동포는 국가자산이고 국력임을 인지하고 상호 윈-윈.
2) 유라시아 인이시에이티브는 연속적인 사랑의 끈이 연결된 것으로 동포끼리 갈등 해소.(귀한 동포법등 비자제도 개선, 자유왕래)
3) 중국 동포, C. I. S 동포들은 북한방문 활동에 용의함으로 미래 북한으로 러시아, 중국기업, 한국기업들이 진출 시 활동의 제한이 적을 것임.
4) 저 출산 고령화의 해결에 큰 기여, 노동력 증대
5) 선 북한진출로 대한민국의 문화와 북한문화의 동질성 확대
6) 통일 후 한반도로 인해 동포들의 위상 확대와 경제적 여건 호전.

소통과 사랑의 실천이 모든 내용의 핵심이다.


Articl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