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구홈피 자유게시판갤러리회원참여스토리

자료실

조회 수 1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재외동포와 인권 
 
신상문(동북아평화연대 연구정책실장)
 
‘조선, 꺼져라.’ 아, 얼마나 귀에 익은 대사인가.
나 자신도 어릴 적, 아이들 사이에서 싸움이 일어나면,
마지막에는 언제나 “조센, 조센, 꺼져, 꺼져”라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
‘조선’이란 무엇인가? 왜 ‘조선’인 내가 일본에 있는 것일까. 어디로 돌아가라는 것일까?
아무것도 모른 채 울지 않으려고 입을 꼭 다물고 집에 돌아오면,
말을 꺼내기 전에 모든 것을 알아차리신 어머니가 무조건,
다만 무조건 나를 꼭 안아주셨다. 경위를 묻지 않고 싸움의 이유도 묻지 않고,
어떠한 이유 때문이든 싸워서는 안된다는 따분한 시민도덕을 늘어놓지도 않으시고,
다만 무조건 나를 끌어안은 채 낮은 목소리로 내 귀에 몇 번이나 되풀이해 말씀하셨다.
 “조선은 나쁜지 않아, 나쁜 것이라곤 하나도 없어
.” 그 어머니의 힘으로 나는 다시 똑바로 설 수 있었다.
(서경식, “난민과 국민 사이”에서)
 
1. 재외동포와 재외동포 운동
 
- 재외동포의 개념
재외동포는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을 말한다.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기 때문에 재외한인 또는
해외한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흔히 이들을 재외동포 또는 재외교포라고 하는데
초기에는 교포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였다가, ‘나그네’라는 의미가 들어있다 하여
최근에는 동포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90년대 이후 재외동포에 대한 법제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96년 12월 외무부에 의한 재외동포재단법을 만들어졌고,
97년에는 제정구 의원 등이 재외동포기본법을 제안하였고
몇차례 유사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본법은 제정되지 않고 있다.
단 98년에 재외동포의법적지위에관한법률이 법무부가 발의하여 만들어졌다.
이 특례법은 외통부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일부 수정하여 만들어져서,
전체 동포를 포괄하지 않고 일부만을 규정하는 악법이 되고 말았다.
훗날 이 법은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을 받게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재외동포의 개념 및 대상범위에 대한 논쟁이 촉발되었고,
결국 아래 표와 같이 재외국민, 외국국적동포, 무국적동포의 개념화가 이루어졌다.
 
구 분
내 용
재외국민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하였거나
영주할 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자
외국국적동포
① 대한민국의 국적을 보유하였던 자 및 그 직계비속으로서
외국국적을 취득한 자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
②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에 국외로 이주한 자로
외국국적을 취득한 자와 그 직계비속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
무국적동포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에 국외로 이주한 자로
외국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채 국외에 거주하고 있는 자와
그 직계비속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자
 
그렇다면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 중 몇 세대까지를 동포로 인정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데,
순수혈통의 경우 무제한 동포로 인정하지만 혼혈의 경우는
3세까지 일차적으로 동포개념에 포함한다(재외동포재단법).
학문적인 대상으로는 문헌으로 소급할 수 있는 한
그리고 본인이 한국계 후손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전부 연구대상이 된다.
재외동포의 수는 700만 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중국, 미국, 일본, 독립국가연합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이 네 지역 중 미국을 제외하면 주로 구한말, 일제강점기에 대거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발적인 이주보다는 정치적, 생계형 이주가
주류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재외동포수는 매년 7% 정도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해마다 이 정도 증가한다면 10면 후에는 1,200만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 비교하면 한국은 중국, 인도, 이스라엘, 아일랜드, 이탈리아 다음으로
재외동포가 많은 나라이다.
 
*전문은 파일을 참고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3 <2006.09.19> 제3차 동북아구상 심화확산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 발표자료/심향정 2011.10.27 120
32 제19차 동평 임시 총회 및 권오병이사장 취임식 2019.03.27 120
31 동평 15주년 기념 평화포럼 / 동북아 디아스포라 <청년들이 사는 법> 2016.11.17 120
30 <2002.9.23> 제1회 동북아 경제인 포럼 자료집 2011.11.09 120
29 동북아평화연대 2012년 활동자료집 2013.02.08 119
28 2011 중국 동북3성 조선족학교 교사초청 문화예술교육연수 결과보고서 2012.04.13 119
27 <2007.11.26>‘코리안 네트워크’에서 ‘동아시아 이주ㆍ공생 코리안 네트워크’로/사무국 2011.11.01 119
26 <2006.11.06> 원코리아페스티발 방문단 자료집/서연희 2011.10.27 119
25 <2006.09.19> 동북아구상과 남북관계 발전전략/심향정 2011.10.27 119
24 이 모든 것은 현재 서... 2016.02.18 119
23 조선족교육 현황과 교류협력의 방향 2012.11.26 119
22 jhihih 2013.06.27 118
21 <2009.09.10> 동북아평화연대 in 연해주 자료 (2008)/사무국 2011.11.03 118
» <2006.12.22> 재외동포와 인권/사무국 2011.10.28 118
19 동평 15주년 화보 파일 2016.12.15 118
18 잇다 동북아평화청년캠프 오리엔테이션 자료집 2014.01.27 118
17 150주년 기업사업 준비위원회 1차 회의 보고 2013.12.31 118
16 <2006.10.16> 2006 Kyung Hee Youth Forum-동북아시아의 거버넌스/심향정 2011.10.27 117
15 2016 중국동포에 대한 언론 모니터링 및 캠페인 결과보고서 2017.01.09 117
14 사진으로 보는 고려인 이주 150주년 기념위원회 사업 요약본 2015.02.16 1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